작년 여름부터 일의 호흡을 바꾸었다. 주단위로 끊어 가기로 했다. 주마다 결산을 하며 한 줄 평이 남겨진다. 문장들이 쌓이니 내가 어떤 일에 어떤 태도로 임하고 있는지 잘 보여지는 것 같다. 묶어본다.     Reset everyweek. 정리하지 않으면 개선할 수 없습니다. “솔직, 간결, 즉시” 설레는 일을 합시다. 비효율은 적이다. 적을 섬멸하자. Concise and Precise 한계에 다다랐을 때, […]

사업은 시대 속에서, 산업 속에서 존재한다. 나는 거래를 할 줄 알기 때문에 시장을 만들 수 있었다. 거래가 계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시스템화했고, 개인에 의존하지 않고도 거래가 계속 창출되는 시장을 만들었다. 거래를 할 줄 알면 시장을 만들 수 있고, 시장을 만들 수 있으면 다음엔 산업을 만들 수 있다. 산업은 밸류체인을 일컫는다. 수직적인 묶음도 수평적인 묶음도 밸류체인이 […]

운동을 쉬면 퍼포먼스가 떨어진다. 꾸준히 하면 오르고 멈추면 떨어진다. 이 컨디셔닝의 공식이 얼마나 정직한지 오늘날 운동생리학자들은 이를 수치화해서 정확하게 예측해낸다. 강도,빈도,지속시간 세 요소를 측정해 총 운동성과를 수치로 나타내기도 하고 각 요소의 비중이 얼마나 다른지 분석해 성과마다의 특성을 회귀도출하기도 한다. 성장의 속도란 어느 정도 달성한 후로는 그 속도와 기울기가 점차 완만해진다. 정비례해서 계속 증가할 순 없다. […]

가슴 뛰는 원대한 목표를 세우고 온 삶을 소명에 향하도록 하는 것이 모든 일의 시작이다. 그 시작은 너무나 강렬하고 확실한 성공의 기세이기 때문에 발동시키기만 하면 그 끝엔 풍족한 보상이 기다리고 있으며 그 과정 또한 가슴 뛰며 매일이 즐거울 것이라는 것도 알고 있다. 하지만 지금 당장부터 그 상태가 되겠다고 머리로 생각하는 것만으로는 발동되지 않는다. 내 의식이 그렇게 […]

두달만에 7키로가 불었다. 이십대 초반에 근육이 하나도 없을 때보다 붙는 속도가 빠르다. 이유는 두 가지 정도 되는 것 같다. 하나는 근성장의 원리를 이해한 덕분이다. 운동은 근성장을 지시하기 위한 자극제공일 뿐이고 실질적 근성장은 영양공급이 충분이 이뤄진 휴식기간에 이뤄진다. 이걸 안 이후로 운동을 악으로 하지 않게 되었다. 자극을 제대로 먹이는 데에 집중하고 잘 챙겨먹고 누워서 종일 유튜브나 […]

내 성격을 아는 사람들이 나에게 한 조언은 한결같았다. 그냥 적당히 시키는 것만, 남들만큼만 하라고 했다. 나는 그렇게 할 수 없는 사람이다. 내 눈에 보이는 영역, 아니 조금 양보해서 내 손에 닿는 영역은 무조건 내 방식과 원칙대로 일이 돌아가야 했다. 어릴 때에도 새우깡 봉지를 세로로 찢거나 뒤집어서 뜯거나 뜯는 중에 삑사리가 나면 나는 나뒹굴며 통곡을 했고 […]

어디든 상관없어. 목적지는 자전거 위니까! 자전거에 올라타는 것만으로 목적을 달성한 거야. 어딘가를 가기 위한 수단으로 발명된 자전거지만 때로는 자전거 그 자체만으로도 목적이 될 수 있지. 오늘은 그런 날이고, 그러니 어딜 가든 상관없어. 목적지를 정한다는 것은 내게 큰 스트레스야. 마치 직장인이 점심메뉴를 정하는 것만큼이나 중대한 사안이거든. “어제 먹었으니까 안돼, 주말에 먹을거니까 안돼, 기름져서 안돼, 단백질 비중이 […]

훌륭한 해법은 니일인지 내일인지 애매모호한 그 경계에서 탄생한다. 니일내일 분명히 갈리는 일들은 해법을 찾은 일들이라 협력이 필요치 않고 분업만 한다. 니일내일 애매모호한 일들은 혼자의 능력으론 해법을 찾지 못한 일들이라 짱구를 맞대 협력해야만 한다 니일내일 정해져 바쁘게 사는 와중에도 우리가 잠시라도 짬을 내어 만나야 하는 이유는 내 부족한 짱구로는 풀지못할 문제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너무 바빠 조금의 […]

그것은 영업·세일즈다. 드러커 할부지는 “마케팅은 영업을 불필요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마케팅의 목적은 고객창출이다. 고객창출엔 책임만큼의 권한도 함께 주어진다. 영업·세일즈의 목적은 판매촉진이다. 판매촉진엔 책임만 있고 권한이 없다. 영업·세일즈는 공급자주의에서 필요하던 역할이다. 만들어둔 상품 및 서비스의 재고를 처리하기 위한 활동. 판매만 되면 그만이라는 태도. 상품이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는지나 고객이 정말 필요한지 따지지도 않는다. 권한없이 책임만 강요받은 척박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