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의 편집공학> – 마쓰오카 세이고
조리를 할 때에는 야채 따위의 떫고 쓴 맛을 우려내거나 곁들일 것을 잘게 썰거나 가스렌지의 세기를 조절하며 몇 가지 과정을 함께 처리한다. 그리고는 도자기 접시나 옻칠한 그릇 등을 선택해서 보기 좋게 양을 조절해서 담는다. 심지어는 ‘솔잎을 곁들인 성게 알젓 순무찜’ 등과 같은 타이틀을 생각해 내기도 하고 손님의 식사 습관에 따라 음식을 내는 시간까지 맞춘다. 이것은 정말 훌륭한 편집이다.
<빡신기획스쿨> – 박신영
“생활속에서도 많은 기획을 합니다. 어떤게 있는지 찾아볼 시간 7초 드릴게요.” (샹송이 흐른다.) “뭐가 있나요?” “요리!” “스냅 두번~ 요리, 어떤 재료를 어떻게 조리하느냐에 따라서 결과물이 다르게 나오는 요리는 기획의 좋은 예죠.”
광고나 마케팅 뿐만 아니라 결혼식, 요리와 같이 기획은 우리의 삶 속에서 과제를 찾고 해결책을 내놓는 이 모든 과정이 기획이다.
디자인학도 – 윤춘근
요리도 물론 디자인이다. 외향적인 모습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 뿐만 아니라, 결과물의 모습을 어떻게 만들어낼지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과정까지도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전적인 의미는 모두 다르지만 이렇게 요리가 자신의 분야라는 주장을 펼칠 수 있는 이유는 기획, 디자인, 편집이라는 행위들을 조금 큰 그릇에 담는다면 담길 수 있는 것들이 아닐까? 그 그릇에는 편집/기획/디자인 이외에도 문제점, 과제에 대해서 어떠한 해결책을 내놓으려는 시도들이 담겨있을 것이다. 이것들을 ‘인류의 삶 개선’이라는 또 다른 큰그릇에도 담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나는 내 에너지를 여기다가 쏟아붓고 싶다. 얼마나 채울 수 있을까?
– 노동자가 되기 싫은 이은호가 노동절에 (2012-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