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이유

내 나이 또래 친구들은 철학이라는 말만 꺼내도 내가 사주팔자 점집을 차릴 작정을 한걸로 오해를 해서 이상하게 쳐다보곤 한다. 그런 친구들도 10여 년 전에는 지독한 철학자였다. 모든 사람은 사춘기를 거치면서 철학적 사유를 시작한다. 자신의 자아를 깨닫고 ‘나는 누구이며, 내가 살고 있는 우주는 어디있는 것인가?’ 라는 질문들을 던진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해답을 찾지 못한 단기 철학자들은 모두 평범한 학생으로 돌아간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풀지 못해 포기한 ‘존재의 이유’라는 문제에 대해 쇼펜하우어는 명쾌한 해답을 일찍이 내놓았다.

‘존재의 이유’나 ‘왜 사느냐?’ 라는 질문에 대해 가정을 꾸려 후손을 잘 기르고 싶다든지 연봉을 5천만원정도 주는 대기업에 들어가고 싶어서라든지 장원급제하여 가문의 영광이 될 것 이라는 대답들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대답들은 자신들의 꿈이자 인생계획일 뿐이지 정답이 아니다. 게다가 본인이 세상에 왜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해답도 될 수 없다. ‘존재의 이유’에 대해서 질문하는 것은 개인의 존재이유를 넘어서 세상 만물의 존재이유까지 물어보는 질문이다. 우리가 생각해 낼 수 있는 답 중에서 틀린 답들을 모두 제거하고 나면 ‘살기위해 산다.’라는 동어반복적인 답만이 남는다.

쇼펜하우어는 ‘살기위해 산다.’라는 것을 ‘will to live’(생의지)라고 말했다. ‘will to live’는 인간이 하는 모든 행동의 원천이다. ‘will to live’가 사람을 하루세끼 밥을 먹게 만들고 짝을 맺게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본인이 생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조차 알지 못한다. 어떤 이는 자신이 의지에 의해서 행동한다는 것을 부정할지도 모른다. 이는 개념의 혼동이 있기 때문인데, 흔히 ‘의지’라는 단어는 뇌의 이성적 사고를 통하여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사전에서는 자신의 의도를 입각하여 자기결정을 하는 목적을 추구하는 작용이라 설명하고 있는데 쇼펜하우어가 말한 ‘will to live’는 이보다 좀 더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의지를 뜻한다. 그것에는 우리의 이성이 개입되지 않는다.

생의지는 뇌가 계산한 결과가 아니고 잠재의식 속에 숨어 있는 것도 아니다. 생의지는 내 몸속 100조 개의 세포 안의 유전자들이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유전인자가 달성하려는 궁극적인 목적은 종족 보존이다. 인간이 종족 보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밥을 먹어야 하고 이성을 만나 성관계를 맺어야 한다. 헌데 인간이 귀찮다고 식음을 미루고 짝을 맺지 않겠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이런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우리 몸속의 유전인자는 쾌락이라는 당근을 줘서 사람을 조종한다. 인간의 미각 구조는 이 쾌락원칙을 철저히 따르기 때문에 대체로 몸에 필요한 음식은 맛이 좋고 몸에 해로운 음식은 맛이 없다.

인간의 모든 욕구의 바탕에는 생의지가 넓게 깔려있다. 그리고 그 생의지 위에는 고차원적인 욕구들이 피라미드처럼 쌓여있다. 이 피라미드는 하위단계에 있는 결핍욕구와 그 위에 있는 성장욕구로 나눠볼 수 있는데 하위단계의 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상위단계의 욕구를 추구하지 못한다.

생리적 욕구, 안전과 안정 욕구, 사랑과 소속감에 대한 욕구, 존경 욕구, 자기실현 욕구의 단계로 쌓여있는 욕구위계 피라미드는 Abraham Harold Maslow가 발견해 낸 모델로 에피쿠로스가 나눈 3단계의 생존, 성욕, 성취욕보다 더 정밀하다.

maslow

생리적, 안전, 사랑, 존중 에 대한 욕구는 결핍욕구로 이 욕구가 기본적으로 충족되어 기본적인 생존이 가능해지게 되면 우리는 더 발전하고자 하는 성장욕구를 추구하게 된다. 먼저 배가 부르고 등이 따뜻해야만 알고 싶어 하는 욕구와 자아를 실현코자 하는 욕구, 그리고 심미적 욕구를 추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쇼펜하우어가 제시한 생의지는 피라미드의 아래단계에 있는 결핍욕구에 더 가깝다고 단정 지을 지도 모르나 단순히 생의지가 하위단계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다. 생의지는 모든 욕구에 넓게 깔려있기 때문이다. 생의지는 모든 인간행동의 원천이다. 생의지는 인간의 생존에 관여하여 안전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사랑을 받아 종족을 번식하고자 하는 욕구도 가지게 하며 훌륭한 사람이 되어 훌륭한 개체로 진화하고자 하는 욕심도 만들어 낸다. 더 나아가 자아를 실현하는 것 또한 자신의 객체를 인식하고 주체로서의 삶을 살도록 만들어낸다. 그러므로 생의지는 모든 욕구에 깔려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생의지는 인간이 가지는 모든 욕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욕구들 중에 아주 강력하고 원초적인 것이 있다면 생존욕구 다음으로 성욕을 들 수 있다. 모든 생명체는 종족보존을 위해 자연적으로 왕성한 성욕을 가지게 된다. 성욕이 없는 존재는 일찍이 대가 끊기고 멸종하였다. 그러므로 현존하는 모든 생명체는 성욕이 왕성하다.

인간 또한 종족을 보존하기 위해 많은 애를 쓴다. 하지만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 우리 조상들은 일찍이 동성동본간의 결혼과 근친상간을 금하였는데, 이는 단순히 관습적인 규제가 아니었다. 근친상간을 하면 기형아를 낳고 열등한 2세가 생긴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친지를 사랑하지 않고 너무 어리거나 너무 나이가 들어 아이를 만들 수 없는 이성에게 성적 매력을 느끼지 않는다. 기본적인 조건을 충족시키는 한에서 인간은 본인과 다른 형질의 가진 이성에게 끌리게 된다.

우리는 흔히 난자에 1등으로 도착하는 정자가 수정에 성공한다고 알고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정자 한마리가 난자에 1등으로 도착해도 바로 문이 열리지 않고 100마리쯤 둘러싸인 이후에야 문을 열어 단 한 마리의 정자를 받아들이는 것이 최근 보고된 사실이다. 1등으로 도착한 정자에겐 아쉬운 일이지만 난자는 100마리의 정자를 모두 둘러본 뒤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와 다른 형질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정자를 받아들이는 선별 과정을 거치는 것이었다.

원생동물의 하나인 짚신벌레가 있다. 꼭 짚신마냥 생긴 짚신벌레는 날씨가 좋은 한여름에는 아메바와 같이 몸이 갈라짐으로써 번식을 한다. 그러나 가을이 찾아와 쌀쌀한 바람이 불어 올 때면 두 놈이 슬쩍 만나 도둑 키스를 한 번 하고, 살그머니 헤어진다. 하등한 종족 주제에 무슨 꼴불견이냐고 하겠지만 겨울이 닥쳐오면 짚신벌레 키스의 신비가 드러난다.

날씨가 사나워지면 스스로 몸이 갈라져 태어난 홀아비의 새끼들은 거의 전멸하다시피 죽어 버리는데 키스를 통해 태어난 후손들은 엄동설한을 이겨내고 많은 수가 생존한다. 짚신벌레는 키스만 한 것이 아니라 두 몸이 합치는 동안 개개의 이질적인 염색체의 일부를 교환함으로써 생존력을 강화시킨 것이다. 인간의 경우에서도 이러한 예를 찾아 볼수가 있는데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진 부모가 낳은 혼혈아는 성장과정에서 인종차별을 받기는 하나 결국에는 미국의 대통령이 될 수가 있었다.

생의지는 인간을 살아가게 만들어주는 원동력이다. 인간은 의지라는 것에 영혼이 저당 잡힌 존재라고 해도 문제가 없겠다.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이 생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세상 만물이 존재하게 만들어 준 진리보다 더 높은 진리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