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품형 인간 [명사]
1. 방송이나 영상제작 업계에서 종사하며 제한기간안에 작품을 제작하여 납품하는 일장단에 맞춰 생활패턴이 결정지어지는 21C신인류의 한 형태. 대체로 게을러 터져서 일을 미루다 미루다 결국 납품기일 3일 전에 내리 밤을 새는 작업을 하곤 한다.
2. 3일 밤샘 작업을 하고 나서도 납품을 했다는 해방감에 술마시느라 하루 더 밤새는 사람. (유) PD, 방송인, 광고인, 프리랜서 듸자이너 등
납품형 인간 [명사]
1. 방송이나 영상제작 업계에서 종사하며 제한기간안에 작품을 제작하여 납품하는 일장단에 맞춰 생활패턴이 결정지어지는 21C신인류의 한 형태. 대체로 게을러 터져서 일을 미루다 미루다 결국 납품기일 3일 전에 내리 밤을 새는 작업을 하곤 한다.
2. 3일 밤샘 작업을 하고 나서도 납품을 했다는 해방감에 술마시느라 하루 더 밤새는 사람. (유) PD, 방송인, 광고인, 프리랜서 듸자이너 등
지난 해 11월 서울로 올라왔다. 조연출 자리를 하나 얻었다. 내가 학교를 다니던 때, 2007년 9월, 내가 2학년 2학기를 재학하던 중에 그 감독님을 처음으로 뵈었다. 유명한 다큐멘터리 감독이었으며, 카메듀서 1세대, 외주 프로덕션 1세대라는 부가설명을 붙일 수 있는 분이었다. 전적으로 그 감독님을 신뢰하고 있었기에 나는 정말 큰 횡재를 했다고 감사함을 느끼며 감지덕지 서울로 올라갔다.
내가 투입된 프로젝트는 공중파에 1시간짜리 특집 다큐멘터리로 나가는 작품이었고 포지션은 조연출. 분에 넘치는 직책과 책임감을 맡은 것 같아서 ‘딴에 뭐라도 된 기분’이 들었다. 후배들을 모아서 술을 한 잔 샀다.(그것은 실수였다. 후배들은 내가 취업을 한 줄로 알고 연신 축하했고, 무엇보다 나는 조연출 생활 1달 3주를 하면서 고작 120만원을 받았기 때문이다. 한 달에 60이 조금 넘는 돈이었다. 일당 2만원? 방세를 안냈고 끼니를 모두 제작비로 해결했기에 생활이 가능했었다.)
처음 사무실로 들어서던 그날, 나와 함께 작업을 하게 될 PD, 작가, 막내작가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들은 나를 낮술로 반겼다.
12월 25일 방송을 10월부터 아이템조사를 하면서 11월이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촬영이 시작됐다. 2달에 가까운 기간을 준비만 한 것이다. 방송국 본사에는 ‘외주제작팀’이 따로 있었다. 외주프로덕션이었던 감독님의 회사는 ’어린이재단‘이라는 단체의 의뢰를 받아서 작품을 기획했고 방송국에서 나온 공고에 지원한 뒤, 수주해서 제작에 돌입했다. 제작비의 총액은 8000만원이었다. 1시간짜리 휴먼다큐를 만드는데 8000만원의 제작비가 책정되었다. 그 중 4000만원은 방송송출료로 본사가 떼먹었다. 한 마디로 4000만원을 내면 공중파에 1시간의 방송을 틀 수 있는 권한을 살 수 있다는 말이었다. (남은 4000만원으로 회사가 어떻게든 방송을 만들어내야 하는 상황이었으나 방송국 내부 기관 중 ’컨텐츠허브‘라는 부서에서 또 1000만원을 꼭 가져가야 한다고 우겨대서 어쩔 수 없이 강도당하고 말았다. 회사엔 3000만원밖에 남지 않았다.)
본격적인 촬영을 위해 차를 한 달간 대여하고, 장비도 대여했다. 차는 렌트카회사에서 빌렸고 장비는 여의도의 한 장비대여업체에서 빌렸다. (여의도에는 방송에 관련된 모든 업체가 모여 있는 곳이다. 장비 대여업체부터 외주프로덕션들, 종편실, 녹음실까지 모여있다.) SONY의 Z-5, 와이어리스 마이크, 트라이포드, 도시락(포터블데크)가 빌린 장비였다. DV테잎은 30개를 샀다. HDV1080i로 촬영했다.
촬영이 끝났다. DV테잎은 총 45개 정도를 썼던 걸로 기억한다. (진행하는 중에 아이템이 두 번 엎어졌었기 때문에 그것까지 다 더하면 총 70개가 넘었다.) 방송이 나가는 25일을 3주 앞두고 편집에 들어갔다. 종로에 있는 맥킨토시 전문 업체에서 맥프로를 한 대 빌렸다. 한 달에 40만원, 깎아서 30만원에 빌렸다. 부산에서는 PD님이 혼자 촬영을 마무리짓고 있었고,(사실 이 때쯤 되니 현장성이니 사실성이니 진정성 따위의 것들은 전혀 고려할 문제가 아니었다. 1시간짜리 이야기를 이끌어 내야 하는데 그 스토리를 이어가기에 부족한 부분들이 너무나 많았다. 작가언니는 계속해서 논리를 끼워 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장면이나 소재들을 PD에게 부탁하고 PD는 그 상황을 만들기 위해서 애쓰고, 정 안되면 솔직하게 털어놓고 연출을 하는 경우도 생겼다.) 나는 혼자 회사 사무실에서 맥킨토시를 설치한 뒤 캡쳐를 떴다. (부산역에 KTX직송 택배가 있다. 그것을 이용하면 부산에서 서울까지 6시간 만에 물건 배송이 가능하다.)
부산에서 올라온 DV테잎을 나는 계속 캡쳐했다. 테잎 45개를 캡쳐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45시간이다. 물론 1시간마다 제 때 테잎을 갈아줄 경우에 말이다. 나는 유난히 잠이 많은 편인데 의자에 앉아서 1시간마다 울리는 알람에 테이프를 갈며 3일을 보냈다. 3일 째, 테잎을 거의 다 떠갈 때 쯤 FCP를 확인한 PD에게 혼났다. HDV로 찍은 테잎을 캡쳐뜰 때에는 FCP에서 기본적으로 레코딩버튼을 누른 시점을 기준으로 모든 클립이 잘려져서 캡쳐된다. 나는 그것이 문제된다고 생각하지 않았지만 PD에겐 큰 문제가 되는 부분이었다.
내가 캡쳐를 뜰 동안 막내작가는 도시락(포터블데크)를 가지고 프리뷰를 한다. 몇 번 테잎에는 무슨 내용이 찍혀있으며 등장인물이 무슨 말을 하는 지 모두 녹취하고 카메라 앵글은 어떻게 변하는지 따위를 모두 기록하는 것을 프리뷰라고 한다. 프리뷰노트에는
Tape 2
0000 칼라바
0030 FS 경윤이가 윤정이를 쳐다본다.
0045 OS 경윤 : 꽈자줘.
와 같은 식으로 모든 것을 기록한다. 앞의 숫자 0000네자리 중 앞의 두 자리는 분을 표시하고 뒤의 두 자리는 초를 표시한다. (1348은 13분 48초이다.)
45개의 테이프를 모두 확인하면서 편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프리뷰노트를 책처럼 인쇄해놓고 노트에 표시하고 적어가며 전체적인 구성을 짜는 것이다. 이 과정은 작가가 주도한다. 이 과정에서 모든 클립이 쪼개져있으면 (8번 테이프의 13‘48“이 어디에 있는지를 찾을 수가 없다면) 쓸 데 없는 시간이 소비되는 것이다. 나는 3일 간의 캡쳐를 다시 시작했다. (사실 시퀀스를 하나 만들고 그 위에 나눠진 클립들을 줄줄이 올려 놓은 뒤 인,아웃점을 잡고 Make Subclip 기능을 사용하면 되는 일이었기에 대수롭지 않게 여겼었지만 PD는 자신이 모르는 기능을 이용할 바에야 내가 잠을 안자고 수고하는 편을 택했다.)
또 3일이 지났다. PD도 촬영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왔다. PD가 편집하는 동안 나는 멍한 정신으로 그저 뒤에 앉아서 졸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존다고 혼났다. 인간의 신체가 졸리면 자고 배고프면 먹어야 한다고 우리의 몸속 유전자에 140만년 동안에 걸쳐 기록되어 있는데 이를 역행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나는 편집하는 중에는 일주일에 20시간을 못잤다. (그만큼밖에 못잔다는 건 나에겐 상상도 하지 못할 일이었다. 동시에 PD에겐 조연출새끼가 그만큼이나 처잔다는 건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160시간이나 되는 일주일에 10시간, 20시간을 짬내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바쁜 것이 아니라 비효율적인 것이라고 속으로 생각했다. 그런 생각을 하다가 잠이 들고 또 혼나고.. 감독님과 PD님은 나란 녀석이 ‘커트가 어떻게 붙고 있는지 옆에서 초롱초롱한 눈으로 지켜보는 열정을 가진 조연출’이 되길 바랐지만 나는 혼이 나더라도 조금 더 자는 것을 택한 게으른 녀석이었다.
지난 새벽 5시까지 깨어있던 것은 기억하는데 책상에서 눈을 뜨니 7시였다. 게다가 PD님이 사라졌다. 2시간이나 엎드려 자다니.. 또 혼나겠구나, 각오를 하고 전화를 걸었다. 어디냐고 물으니 용산에 와있다고 했다. 왜갔냐 했더니 외장하드가 날라 갔다고 했다. 그러고 보니 본체 옆에 있던 외장하드가 없었다. 3시간 뒤에 PD님은 새 외장하드를 들고 돌아왔고 PD는 연신 담배를 피워댔다. 일주일이 날아갔다. 또 다시 3일간의 캡쳐가 시작되었다.
PD가 새우잠을 자거나 사우나에 잠시 갔다오는 동안 나는 막내작가와 함께 예고편을 만들었다. 예고편을 만들고 난 뒤에는 중요한 몇 몇 장면들만 골라 6mm에 떠서 방송국 본사로 갖다 줬다. ‘이어서’를 만들기 위해서였다. 방송국의 한 편에는 프리미어 컴퓨터가 설치된 방이 여러 개 붙어있었는데 그 중에 한 명은 ‘이어서’ 편집기사였다.(“이어서 ~~프로그램이 방영되겠습니다.”만 하루 종일 만드는 사람)
방송까지 정확히 5일 남은 날의 새벽이 또 밝았다. 나는 여전히 졸린 상태이고, 사무실은 담배연기로 꽉 차있었다. 가편이 끝난 프로젝트 파일을 외장하드 통째로 들고 여의도로 향했다. 보통 6mm테잎에 떠서 가져가거나 DigiBETA테잎으로 가져가야 하지만 편집실에 FCP가 가능한 곳을 갔기 때문에 외장하드를 가져가서 바로 열어 수정작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그 편집실은 3일에 100만원이었던 것을 70만원으로 협상했다.) 그 편집실은 방이 여러 개 있었으며 항상 밤샘하는 실장들이 있었다. 실장들을 대부분 나이가 어렸으며 레귤러방송(매주 1시간씩 나가는 주기적인 방송)을 주로 편집하는 듯 했다.
종편실에서는 FCP작업과 DigiBETA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실장은 FCP로 작업할 수 있는 부분까지(갖가지 Transition들과 프롤로그 이미지 만들기, Color Collection, 모자이크)만 손본 뒤 디지베타 테잎으로 떴다. 그 편집실엔 자막실이 따로 있었는데 자막을 치는 아가씨가 5여 명이 있었고 2교대로 24시간 대기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자막은 프리뷰노트를 제작했던 우리의 막내작가가 만들어서 가져갔었고, 어떤한 프로그램을 써서 자막 폰트설정과 데코레이션 설정하는 것이 순식간에 가능했다. 1시간짜리 자막을 모두 만들어 내는 데 채 30분도 걸리지 않았는데, 이미 여러 가지 컨셉과 프리셋을 미리 만들어 놓고 적용만 시키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그들의 손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빨랐기 때문이기도 했다. 자막파일들은 targa확장자로 출력했다. (학교에서는 포토샵에서 뒷 배경이 없이 타이포 레이어만 띄운 뒤 PNG파일로 저장하여 FCP에서 가장 윗 트랙에 자막을 얹히는 식으로 작업했었다.)
리니어 편집실 안에서는 실장, 보조, 자막팀 그리고 PD 총 네 명이 나란히 기계 앞에 앉아있었다. (나는 뒤에 쇼파에 앉아서 또 졸았다. 보아하니 보조하는 분도 실장눈치를 보며 쏟아지는 졸음을 참지 못하고 있었다.)
FCP에서 가편을 끝낸 뒤 바로 출력한 테잎을 ‘클린본’이라고 불렀다.(순수하게 컷만 붙어있고 CG나 자막 따위의 것들이 들어있지 않은 테잎.) HD였기 때문에 HDCAM테잎을 썼다. (하지만 녹음실에는 HDCAM이 지원되지 않아 녹음/믹싱작업만을 위한 DigiBETA 테잎으로도 클린본을 만들었다.) 클린본 테잎을 기계에 넣고 리니어 기계에서 실시간으로 테잎을 재생하면서 PD가 손가락을 튕기는 순간순간마다 자막을 넣고 뺀다. 실시간이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이며 호흡을 조절하는데 특히 훌륭한 시스템이었다. FCP에서 모든 자막을 마우스로 조정하려 했다면 무척 시간도 오래 걸렸을 것이다.(물론 FCP에서도 실시간 재생을 하면서도 자막이 들어갈 타이밍을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은 있다.)
방송을 틀 수 있을 준비가 된 테잎이 나왔다. 이 테잎은 ‘마스터’테잎이라고 부른다. 방송국 본사에 마스터 테잎을 넘겨줄 때 외주제작국 팀장과 여러 사람들이 더 모여 테잎을 한 번 확인한다. 모자이크가 더 필요한 부분은 없는지, 자막에 오타는 없는지 따위를 6여 시간에 걸쳐 수정했다. 이 날 방송국 본사의 심의 총 책임을 맡은 본부장님(?)정도의 분이 작업하기 전에 커피나 한 잔 하자면서 커피 심부름을 시켰다. 다들 아메리카노를 시켰고 본부장님은 카페라떼를 시켰다. 나에겐 먹고 싶은 것을 먹으라 했지만 그러고 싶지 않았다. 그러면 안될 것 같게 아니라 그러고 싶지 않았다. 대신 각설탕을 많이 챙겼다. 전날 한 끼만 대충 챙겨먹었던 나는 각설탕 여섯개를 넣은 커피를 입 데이는 줄도 모르고 마셨다.
방송이 나간 뒤, 나는 제작비 정산을 하게 되었다. 장비대여 업체와 편집실, 녹음실에 나간 돈은 얼마이며 인건비로는 얼마가 들었는지 따위를 모두 정리함과 동시에 제작 기간동안 영수증을 모두 정리해야했다. 수백 개가 되는 영수증을 엑셀로 내역과 액수를 정리하여 대표님께 전달했다.
방송이 나간 뒤, 프로젝트가 완전히 끝났기 때문에 PD도 작가언니도 막내작가도 다 흩어지게 되었다. 작은 프로덕션에서 진행하는 이런 프로그램은 프로젝트가 끝나자마자 제 갈길을 알아서 가야한다.
나는 갈 곳이 없어 다시 부산으로 내려갈 지, 다른 외주프로덕션에 들어가 볼지를 따져보았다. 미디어자과 사람인 사이트를 통해서 외주프로덕션 몇 개를 알아봤으나 주변에서 들리는 소문이 좋지 않았다. (주변의 인맥을 통해 아름아름 사람을 구할 수 없는 ‘평이 좋지 않고 왕따를 당하는’프로덕션만 온라인 구직사이트에 정보를 올려 사람을 뽑고 있다는 것이 선배들의 충고였다.) 내 첫 사수는 6mm 꼭지물로 여의도바닥에 이름을 꽤나 날린 PD라고 소문이 나있었다. 옆에서 보기에도 그런 것 같기는 했다. VJ특공대와 무한지대Q를 오랜 기간 동안 했다고 들었다. 내가 사고도 많이 치고 잠도 졸라 처자고 했지만 갈 곳 없는 내 처지를 불쌍하게 여겼는지 자신이 예전에 일했던 곳을 소개시켜 준다고 했다. 자신이 무조건 입사시켜 줄 수 있는 파워는 가지고 있다고 했다. 나는 6mm를 한 번 잡게 되면 매너리즘에 빠지게 될 것 같다는 생각에 겁먹어서 정중하게 거절했다. (아침방송이나 6mm프로그램들을 보면 보통 1시간짜리 프로그램이 4개의 ‘꼭지’로 이루어진다. 한 꼭지는 14~15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보통 1년 정도의 조연출수련생활을 하게 되면 한 꼭지를 맡을 수 있는 영광을 얻게 된다.)
내 사수는 친구가 한 명 있었는데 편집기간 동안 가끔 사무실에 왔었기 때문에 인사를 하고 지내게 되었다. 다행히 그 PD분에게는 조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었는지 나를 데려다 쓰겠다고 했다. 부산 촌놈이 강남바닥을 처음 가보게 되었다.
나는 학교를 다니면서 인턴 나가는 것을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선배가 한 명도 없었기에 헛소리를 제 맘껏 내뱉은 것이었다. 난 비싼 등록금을 내면 학교를 다니면서 수업을 들으면서 지식과 교양을 쌓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대학교란 곳이 취업알선센터가 아닌데 왜 인턴따위를 나가서 미리고생 사서고생을 해야 하냐고 반박했다.
필드에 나와 보니 시발, 이거 뭐 다 처음 듣는 소리에다가 가르쳐주는 PD도 아카데미 나온 녀석보다 아는 게 없으니 ‘시발 이새낀 도대체 뭐야 아는 게 하나도 없다’며 귀찮아했다. 대학교가 취업알선센터로 변해가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지만 나처럼 대학교를 4년 동안 다니면서 그 후의 삶에 대해서 전혀 준비하지 않는 놈은 문제가 정말 큰 것 같다.
그래서 후배님들은 얘기라도 좀 들어보라고 뭘 적어봤어요. 이어지는 이야기는 강남의 포스트프로덕션 이야기입니다.
제가 필드 경력이 5개월 밖에 안되서 지금 자리가 잡힌 게 아닙니다. 공식적으론 아직도 백수상태죠. 학교에서 전화도 와요. 그거하지 말고 다른데 알아봐 줄테니 4대보험 되는 데로 가서 우리 학교 취업률 높이잡디다. 저는 아직도 선배들이 뭐할래, 연출할 생각은 있는거지? 꿈이 뭐니? 라고 물어보면 대답을 못합니다. 그러니 제 주관적인 감정이 있는 것들은 그대로 받아들이지 마세요. 방송일 영상일 힘든 것은 누구에게나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일인들 어디 쉽고 편한 일이 있겠습니까. 그저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고 어떻게 다르며 후배님들은 어떤 준비를 하는 게 옳을지 고민하는데 참고가 되기만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