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나는 지금 이 순간 왜 이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인가. 나는 이 문제를 죽기 전까지 매 순간 되물어 보겠지만 끝내 답을 찾지 못할 것을 알고 있다.
나는 지금 이 순간 왜 이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것인가. 나는 이 문제를 죽기 전까지 매 순간 되물어 보겠지만 끝내 답을 찾지 못할 것을 알고 있다.
내가 디지털영상을 배우는 학교엔 암실이 하나 있다. 흑백사진을 인화하는 곳이다. 디지털카메라가 나오면서 필름 소비량은 줄어만 가는데 사진과에서도 배우지 않는 암실수업이 영상전공 학과에 떡하니 있다. 사진과에서 고지식한 교수 하나가 넘어왔는데 영상에 대해 아는 것도 없으니 머라도 가르친다고 가르쳤던 게 검은 방에서 약품냄새 풀풀 풍겨가며 사진 현상하는 수업이었다. DSLR 카메라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암실수업은 […]
그러니까네, 사람은 사람의 한계를 규정짓는다 이거지. 한계를 이미 규정지어 놓은 인간이 어떻게 그보다 높은 단계로 나아갈 수 있겠냔 말이지. 자신의 한계를 이미 규정해 놓은 사람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뭐냐면, 그 한계보다 뛰어난 사람은 사람으로 안보고 신과 같은 존재로 취급해버리고 마는거지. 자신도 그렇게 뛰어날 수가 있는데. 더 열심히 할수도 있고 더 많은 발전을 할 수도 있는데도 […]
나 어릴 적엔 학교에서 꿈에 대해 적어내라고 한 적이 많았던 것 같다. 그 때 잘만 적어냈던 친구들이 여전히 그 꿈을 가지고 있는지 갑자기 궁금해져서 이 글을 한번 끄적여 본다. 왜 선생님들은 하나같이 꿈꾸는 학생들을 좋아할까? 자신들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뭔가 위대한 삶을 살길 바랐던 것일까? 사실 선생님들도 그 작은 아이들이 커서 양아치나 공사판 인부가 되거나 잘해봐야 […]
내 나이 또래 친구들은 철학이라는 말만 꺼내도 내가 사주팔자 점집을 차릴 작정을 한걸로 오해를 해서 이상하게 쳐다보곤 한다. 그런 친구들도 10여 년 전에는 지독한 철학자였다. 모든 사람은 사춘기를 거치면서 철학적 사유를 시작한다. 자신의 자아를 깨닫고 ‘나는 누구이며, 내가 살고 있는 우주는 어디있는 것인가?’ 라는 질문들을 던진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해답을 찾지 못한 단기 철학자들은 모두 […]
데카르트가 말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재한다.” 곰곰히 생각해봤다. “나는 존재한다. 고로 나는 생각을 해야 마땅하다.”
얼마 전에는 쓰촨성 지진이 일어나면서 30만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진은 남아시아 대륙판이 유라시아 대륙판을 밀어 올려 발생한 것이라고 한다. 중국인은 대륙이동설을 알고 있고 자신이 살고 있는 위치도 알고 있었음에도 대비를 하지 못했다. 게다가 지진이 일어나기 몇 일전 개구리들이 힌트를 줬다고 한다. 쓰촨성 부근에 있는 모든 개구리가 튀어나와 온 도로를 덮었고 차에 밟히면서도 어디론가 황급히 […]
사람은 말을 할 줄 안다. 언어가 생기고 말을 할 수 있게 되자 그것은 인간의 문명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인간은 더욱 언어를 활용했고 넓어진 추상언어와 개념언어들, 다양해진 내적표현들로 하여금 인간은 더욱 다양하고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요즘은 그와 반대의 경향을 자주 느낀다. 말을 하기 때문에 생각이 제한되는 것 같은 느낌이다. 사람들은 […]
세상에 진리가 있다면 ‘진리는 없다’라는 것 하나 뿐이다.
경험제일주의 부정적사고 비관주의 냉소주의 평균주의 책임전가 지시일변도 과거회귀 보수주의 관료주의 — 덧붙임 (2015.12.19) — 군대에서 적은 노트다.